top of page

11 Grand Cube

: 코로나 시대의 교육 변화와 과제 모색을 위한

  온라인 국제 포럼

: 각국 언택트 교육 현황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대안 마련
 

 ZOOM 진행 
11월 7일 (토요일) 14시
563140_395896797172602_1153829731_n_edit
Grand Cube 소개

GRAND CUBE 소개

올해의 주제: 코로나 시대의 교육의 변화
P20191109_155454965_0CCABF47-6028-4375-9

GRAND CUBE는 숙명통역봉사단의 가장 큰 자체

행사로, 외국인 교환학생인 토론자와 숙명통역봉사단

단원이 통역사로서 한 팀이 되어 진행하는 국제 회의와

흡사한 형태의 통역-토론 대회입니다.

올해로 11주년을 맞이하였을 만큼, 오랜 시간

이어져 온 숙명통역봉사단의 주요 행사 중 하나입니다.

KakaoTalk_Moim_84BLJMNq7SHCMnZoY3Z3N5IHR
KakaoTalk_Moim_84BLJMNq7SHCMnZoY3Z3N5IHR

올해는 코로나 상황으로 특수하게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온라인상으로 토론을 진행했을때의 한계점으로 인해 제11회 GRAND CUBE는 온라인 국제 포럼 대회의 형식으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각 나라의 대표역할을 맡는 외국인 연사와

숙명통역봉사단 단원이 통역사로 한 팀을 이루어

숙명통역봉사단이 선정한 주제로 발표를 하게 될 것입니다.

 

올해의 주제는, '코로나 시대의 각국 언택트 교육 현황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대안 마련'입니다.

 

코로나로 인해 큰 변화를 겪고 있는 교육 분야에 대하여

대학생들이 크게 공감할 수 있는 주제이기에 올해의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습니다.

특정 국가의 온라인 교육 방안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대안을

대학생 입장에서 발표해보는 의미 있는 행사가 될 것을 기대합니다.  

그랜드큐브2020_포스터_최종.jpg

식순

2020GRANDCUBE식순_최종.jpg
식순
연사
20191109_163724_edited.jpg

​숙명통역봉사단 소개

'숙명통역봉사단'이란?

2002년에 구성된 국내 최초의 대학생통역봉사단체입니다.

2020년 현재 19기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영어, 중국어, 일본어, 프랑스어 등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단원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저희의 능력을 인정받아 교내에서는 해외에서 오시는 교수님의 통역 및 의전, 캠퍼스투어 진행, 교환학생들을 위한 통역 및 번역 등을 맡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는 수출상담회나 한중일 장관회의 통역, 다양한 국제 세미나 통역 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저희 숙명통역봉사단은 교내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국제행사 및 민간외교분야에서 대학과 국가의 홍보사절단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Speakers

​포럼 참가자

현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교육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견해를 알아보세요!

TEAM AMERICA

KakaoTalk_20201005_161251335_01.jpg
KakaoTalk_20201005_161251335.jpg

발표자 Amanda Boxrucker

통역사 김다은

"Lack of Technology Resources in the Digital Era of the US"

(디지털 시대, 미국의 전자기기 공급 부족 문제)

TEAM FRANCE

KakaoTalk_20201005_160927347.jpg

발표자 Millie Chiron

KakaoTalk_20201005_160921464.jpg

통역사 김은재

"Current Status of France and the Necessity of Mental Health Support for Students Experiencing Online Education"

(프랑스의 코로나19 현황과 온라인 수업대상 학생들을

위한 심리적 안정 지원의 필요성)

TEAM CHINA

KakaoTalk_20201005_164450595.jpg

발표자 侯亦君 (호우이쥔)

KakaoTalk_20201005_151912493_02.jpg

통역사 신유빈

"中国线上教育现状以及相关对策建议"

(중국의 온라인 교육 현황 및 관련 대책)

TEAM JAPAN

KakaoTalk_20201005_160655179.jpg
KakaoTalk_20201005_161145380.jpg

발표자 山崎瑞歩 (야마자키 미즈호)

통역사 이하은

"オンライン教育が進まない日本とオンラインで進行できる体育と音楽の授業アイディア"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일본과 온라인으로

진행 가능한 체육과 음악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

​제11회 그랜드큐브 사회자

KakaoTalk_20201005_151935643.jpg

중어 18기 김윤희 

자문교수 및 심사위원

​자문 교수님
grandcube-profile-male.png

최동주 교수님

​숙명여대 글로벌서비스학부 학부장

grandcube-profile-female.png

조일아 교수님

​숙명여대 글로벌서비스학부 교수

​스페인어 국제회의 통역사

심사위원
grandcube-profile-female.png

김지은 통역사님

grandcube-profile-female.png

김선주 통역사님

grandcube-profile-female.png

김계형 통역사님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중 국제회의 동시통역 석사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중과 박사

 

대한항공 통번역사

 

식품의약품 안전처 통번역사

 

현대자동차 E-cartech 중문화 프로젝트 참여

외 통번역 다수

現 '한국외대 KFL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번역학과 조교수


고려대 일어일문학과 졸업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석사과정 졸업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박사과정 수료


법무법인 SN 일본어 자문위원 및 전속 통번역사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외래교수


계명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한일과, 방통대 무역학과,

한양여대 실무 일본어과 강사

삼성전자, LG화학, 현대자동차 설명회 한일통역,

법률문서 번역 등


고려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이화여대 통번역대학원 한영 통역학과 졸업


구글-한국정부 회의 순차 통역


 미국 스포츠의류 회사 언더아머(Under Armour)

회장 패트릭 프리스크 방한 순차통역

UN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 주최 '2019 도시

재난복원력 계획 수립을 위한 국제 컨퍼런스' 동시통역

외 통번역 다수

소년과 그의 태블릿 장치
지난 Grand Cube

지난 GRAND CUBE

KakaoTalk_20200911_225107576_02.png
KakaoTalk_20200911_225107576_01.png
KakaoTalk_20200911_225107576.jpg

청중 신청

​청중 신청

청중 신청을 하시려면 아래의 정보를 기재해주세요 :)

청중 신청
Q&A

Q&A

각 팀의 발표 내용을 들으면서 궁금한 점을 질문으로 보내주시면 선별하여, 발표자가 해당 질문에 답변을 해드립니다!
문의
어느 팀에게 질문을 하시겠습니까? 필수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포럼 요약

TEAM CHINA

☑ 주제: 중국의 온라인 교육 현황 및 관련 대책

☑ 현황:

중국의 메신저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 발전 가속화에 따라

현재 중국의 온라인 교육 발전 속도는 매우 빠르다. 중국 교육부는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2019년에 온라인 교육 규범화 운영과 건강한 발전을 위한 정책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여기에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교육부는 '수업은 중단하되, 학습은 멈추지 않는다'라는 통지를 발표하고, 22개의 온라인 플랫폼에 2만 4000개의

온라인 수업을 무료로 개방하였다.

이렇게 정부의 온라인 교육 장려 정책과 코로나19 사태가 모두 중국의 온라인 교육 산업 발전을 촉진했다. 2020년 4월 28일 CNNIC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3월까지 중국 온라인 교육 이용자 수는 4억 2300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중국 내 온라인 교육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에, 중국 온라인 교육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아이디어:

1) 교육부와 온라인 교육 플랫폼 업체가 함께 플랫폼을 만들도록 한다 → 코로나19로 온라인 교육에 참여하게 된 일선(一線)의 교사 100여

명을 선발하여 전문가와 함께 공동 조사팀에서 활동하게 한다. 이들로 하여금 온라인 교육 플랫폼에 본래 있는 기능에 어떤 기능이 더

추가되면 좋을지 함께 연구하도록 한다. 이렇게 온라인 플랫폼을

규범화하고, 중앙 정부와 지방 교육부가 일괄적으로 플랫폼을 심의 및 배포함으로써, 현재 너무 다양한 플랫폼들을 모두 사용해야하는

학생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이렇게 통일된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은 언제 또 발생할지 모를 전염병 발생 상황에 대한 좋은 대비책이 될 수 있다.

2) 아직 자제력이나 학습 자율성이 형성되지 않은 초등학생의 경우,

온라인 교육 플랫폼 관리 방식을 강화하는 것이 학습을 독려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 화면 감시 및 제어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 태도를 관리할 수 있으며, 여기에 AI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

학생들의 태도를 자동으로 식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선생님에게

상황을 알릴 수 있다.

PC ICON.png

TEAM FRANCE

manual icon.png

☑ 주제: 프랑스의 코로나19 현황과 온라인 수업대상 학생들을 위한 심리적 안정 지원의 필요성

☑ 현황:

프랑스에서는 87만명 이상이 코로나 19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약

3만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 19가 발생하기 전,

프랑스 교육기관들은 소그룹 수업 형태로 강의나 세미나, 튜토리얼 등을 진행했다. 언어 수업의 경우는 대면 말하기 발표와 조별 회화 등이 강조되는 수업 방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2020년 3월 이후 프랑스 정부는 코로나 19로 인한 상황이 악화되자 전국 온라인

수업 진행조치를 취했다. 프랑스는 온라인 수업에 관한 대비책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한 나머지, 학생들의 수업 접속 여부 조차 확인 할 수 없는 체계 속에서 동영상이 아닌 PPT 등, 단순한 수업 보충 자료들만 제공하였다. 사전 녹화 수업의 형태가 존재하지 않는 것에 더해 다수의 학생들이 수업에 활발히 참여하는 것이 어렵게 됨에 따라, 온라인

수업은 전체적인 수업 분위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여러 문제 중 하나로는 프랑스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시험인

고등학교 졸업시험인 ‘바칼로레아’가 예정대로 치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바칼로레아’의 평가 기준은 갑작스레 고등학교 시험 성적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 평가로 바뀌었고, 사립학교와 공립 학교에서의 차이가 불공정한 평가로 이어지기도 했다.

 

☑ 아이디어:

코로나 19 이후 전세계 학생들의 우울증 지수는 8.5 %에서 3배 가량

증가한 27.8%에 이른 것으로 보고 되었다.  ‘코로나 블루’라는 용어가 등장하기도 했는데, 이는 서울 대학교 연구 결과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으며, 코로나 19로 인해 발생한 우울증과 무기력증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신적’ 건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프랑스 팀이 제시한 해결방안 총 3가지이다. 

1) 온라인 수업을 경험하는 학생들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스트레스와

불안감해소 방법 등의  내용을 담은 정신 건강 매뉴얼을 만들어 배포할 것.

2) 첫번째 방안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매뉴얼을 필수적으로 학습

자료들에 포함시키는 정책을 수립할 것.

3) 다양한 분야의 기관들이 협업하여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격려하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행사들을 진행함으로서 학생들에게

잠깐의 휴식을 제공할 것. 제시한 3가지의 방법이 실행되기 쉽지

않다는 것은 알지만 이러한 방법들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정신적 지원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TEAM JAPAN

sports icon.png

☑주제: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일본과 온라인에서 진행 가능한 체육과 음악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

☑현황:

현재 일본의 초, 중, 고등학교는 등교를 시작하고 대학만 온라인 수업을 하고 있다. 대학은 한 달 정도의 기간으로 온라인 수업 체제를 만들 수

있었지만, 일본의 초등, 중등 교육 과정에서는 ICT교육의 발전이 늦었기 때문에 초, 중, 고등학교는 3개월이 지나도 온라인 수업 체제를 만들지 못하고 대면 수업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온라인 교육의 이점과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실시하지 않는

이유는 일본이 ICT교육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의욕과 열의가 없기

때문이다.

☑아이디어: 온라인으로 진행 가능한 체육과 음악 수업에 대한 아이디어

1) 체육 수업의 경우, 줌과 같이 학생 전체의 모습이 보이는 어플을

사용해 수업을 진행한다.

1. 채팅 기능을 써서 선생님은 학생에게 한 명씩 ‘사과’,‘치즈’와 같은

단어를 부여한다.

2. 선생님이 “사과는 제자리걸음 10번을 해보세요.”라고 하면, 사과라는 단어를 받은 학생 전체가 제자리걸음을 시작한다. 선생님과 ‘사과’가

아닌 학생들은 심판이 되어 화면을 보고 ‘사과’ 중 누가 가장 빠르게

제자리걸음을 끝냈는지를 가려낸다. 그리고 가장 먼저 제자리걸음

10번을 끝낸 ‘사과’에게 점수를 준다.

3. 가장 점수를 많이 받은 사람이 승리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온라인으로도 친구와 함께 즐겁게 게임을 하며 몸을 움직일 수 있다.

 

2) 음악 수업도 마찬가지로 어플을 사용해 진행한다.

강약 표시가 없는 악보를 사전에 학생이 준비한다. 수업 중에는 과제가 된 곡의 음원을 감상하고, 어떻게 부르면 좋을지를 묻거나, 악보에

자신만의 생각을 쓰도록 지도한다. 고학년이라면 ‘작곡자의 심정’,

‘가사에서 느껴지는 의미’,‘반주의 느낌’ 등을 의식하며 적게 하고

저학년은 음악을 제스처로 표현하게 한다.

school bus icon.png

TEAM AMERICA

☑ 주제: 디지털 시대, 미국의 전자기기 공급 부족 문제

 

☑ 현황:

미국에서 주로 온라인 교육을 받는 사람들은 대학에 진학하지 못하거나 대학에서 자퇴한 어른들이기 때문에, 온라인 교육은 학위를 더 쉽게 얻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인식한다. 온라인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실패자로

여기는 분위기 때문에 대면 수업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이런 연유로 비대면 수업인 온라인 수업보다 대면으로 진행되는 홈스쿨링을 더

선호한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해 현재 학교들은 대면이 아닌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은 미국 내 교육 시스템을 크게 바꿔놓지는 않았다. 줌 강의로 이루어지는 수업도 있고 미리 녹화되어

구글 클래스룸에 업로드 되는 수업들도 있다. 학생들은 구글 클래스룸에 자신들의 과제를 제출하고 퀴즈를 풀기도 한다.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들을지 대면 수업을 들을지 선택권을 주는 학교도 있다.

온라인 교육이 갑작스러웠던 만큼, 여러 문제점들이 있다. 그 중 가장

심각한 문제는 빈곤 지역의 학생들에게 전자기술 공급이 어렵다는

것이다. 미국의 가난한 지역에 사는 대부분의 가정들은 컴퓨터를

한대밖에 소지하지 않을뿐더러 집안에서 안정적인 통신망 서비스조차

제공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 아이디어:

1)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노트북 대여

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노트북을 학생들이 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해주어야 한다. 노트북을 대여할 때 학생들의 정보를 제공받아

기록하고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학생들에게 담보물을 받을 수도 있다. CNBC 기사에 따르면 맨해튼의 한 고등학교가 이 방법을 사용하여

전자기기 공급의 문제를 일부 해결했다고 한다.

2) 학교가 전자기기 기업들과 파터너십 맺기

전자기기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학생들에게 인터넷 연결과 함께

개인 노트북이나 휴대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는 애플과 같은

회사와 파트너십을 맺어 학생들이 학기 동안 학습할 수 있도록 아이패드 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 CNBC 기사에 따르면 미국 교육부는 이미

제공된 175,000대의 전자기기와 더불어 애플과 T 모바일과 협력해

전자기기가 없어 학교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30만명의 공립학교

학생들에게 LTE 기능이 지원되는 아이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3) 스쿨버스에 개조

미국에서 스쿨버스는 집, 창고용 차량, 레스토랑 등 필요와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개조되어 사용돼 왔다. 버스 안의 좌석을 전부 제거하고 그

자리에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는 책상과 의자를 넣고, 버스 안에

핫스팟을 설치하여 노트북이나 아이패드 같은 전자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식 컴퓨터실로 개조하는 것이다. 이때 제공되는 전자기기는

파터너십을 맺은 기업에서 제공받은 노트북이나 아이패드가 될 수 있고, 학교 소유의 노트북일 수 도 있다.

포럼 요약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47길 100

학생회관 203호

smiv@sookmyung.ac.kr

연락처

김유진 19대 학생대표

전화: 010-4153-7264

  • White Instagram Icon
  • White Facebook Icon

© 11th Grand Cube 2020  By SMIV.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